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3)
스파르타코딩클럽 11/21 오늘 오전 아침회의 시간 전까지 댓글창 제작관련해서 코딩직접 하다가 관련영상들 훓어보고 오후 타임때부터는 이제 다시 코드 짜보다가 영상관련해서 다시 훓어보고 저녁식사 전에 이제 다시 회의하고 우리조가 다른조에 비해 퀄리티를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다들 마음 처럼 따라주지 않아 하는거같아서 많이들 아쉬워하고 답답해 하는것같다 일단 뼈대 구조를 맡은 팀원들이 어떻게 구조를 짜야할지 많이 막막해 하며 힘들어 하더라 강의도 봐야하고 댓글창 하는거 코드도 봐야하고 바쁘면서도 자꾸 나태해진다 조금만쉬자 하고 좀더 쉬는거같고 좀더 화이팅하자!
스파르타코딩클럽 11/20 wil 이번주는 좀 빠르게 지나간것같다 수업도 듣고 강의도 듣고 프로젝트도 맡게 되면서 주말에는 내가 맡은 댓글 기능에 대해서도 찾아보게 되었고 공부도 하게되었고 머리 염색도 하고 게임도 하면서 주말을 보내게 되었다 댓글기능을 찾다가 사람들이 올려논 홈페이지인데 disqus,livere 등 코딩에 도움이 되는 홈페이지들을 알았다 그 홈페이지는 disqus 에 대한것을 알려주었는데 무슨 코드가 다짜여져 있더라 댓글 기능을 만드는데 도움을 받으려고 찾아봤는데 그냥 코드가 있는거 그대로 붙여놓으면 댓글 기능이 완성이 되더라.. 보고 좀 신기했었다 ㅋㅋ
스파르타코딩클럽 11/18 9~10 프로젝트 발제 수업듣기 10~12 다같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할지 뼈대 팀원들의 의견이 다양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생각함 프론트 백엔드 결정 프론트 영진님, 휘인님, 백엔드 나,다경님,채하님 역할분담 나: 댓글 게시물: 채하님 회원정보: 다경님 12~1 각자 정리 등 쉬는쉬간 1-2 점심 식사 피자,치킨 2-5 댓글창 어느기능 들어가게 할건지 정리 5-6 회의 기초 프로젝트 s.a 제출전 각자 정리한거 보고 6-7 저녁식사 보쌈 김치 7-8시 강의 cpu-메모리-os-하드디스크 프로세스 란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붕어빵 틀)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8-9시 강의 ajax == 비동기 줌수업을 하는데 잘 이해가 안가는데 다들 이해가 ..
스파르타코딩클럽 11/17 웹퍼플리싱 이제 듣기 시작했다. HTML 기초 HTML은 크게 head와 body로 구성되며, head안에는 페이지의 속성 정보를, body안에는 페이지의 내용을 담습니다. head 안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요소들: meta, script, link, title 등 👉 페이지의 속성을 정의하거나, 필요한 스크립트들을 부릅니다. 즉, 눈에 안 보이는 필요한 것들을 담는 것. 나중에 body 작업을 하면서 필요한 정보들을 넣어보겠습니다. body 안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요소들! [코드스니펫] HTML 기초 나는 구역을 나누죠 bullet point!1 bullet point!2 h1은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페이지마다 하나씩 꼭 써주는 게 좋아요. 그래야 구글 검색이 잘 되거든요.h3~h6도 ..
스파르타코딩클럽 11/16 재귀함수와 관련되어 나오는 대표적인 문제인 팩토리얼! 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팩토리얼은 1부터 어떤 양의 정수 n까지의 정수를 모두 곱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3! 은 3 * 2 * 1 = 6, 4! 는 4 * 3 * 2 * 1 = 4 * 3! = 24 즉, Factorial(n) = n * Factorial(n - 1) Factorial(n - 1) = (n - 1) * Factorial(n - 2) .... Factorial(1) = 1 의 구조입니다! def factorial(n): # 이 부분을 채워보세요! return 120 print(factorial(5))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1 return n * facto..
스파르타코딩클럽 11/15 링크드 리스트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 3을 가진 Node 를 만드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node = Node(3) # 현재는 next 가 없이 하나의 노드만 있습니다. [3] 👉 그러면 이제 노드들을 만들어서 연결해볼까요? first_node = Node(5) # 현재는 next 가 없이 하나의 노드만 있습니다. [5] second_node = Node(12) # [12] 를 들고 있는 노드를 만듭니다. first_node.next = second_node # 그리고, [5]의 next 를 [12]로 지정합니다. [5] -> [12] ⚠️ 이 노드들을 일일이 계속 연결해주려면 ..
스파르타코딩클럽 wil 코딩 2주차 2주차 느낀점 그냥 어떤게 흘러가고 어떻게 되는지 이제 느낌은 알겠다 9-9 도 첫주차에는 좀 힘들었는데 지금은 벌써 그렇구나 하고 하는듯이 진행한다 지금 있는 팀원들하고도 열심히 으쌰으쌰 하는 분위기로 하고있는데 역시 다들 많이 어려워 하는거같다. 나만 어려워 하는건 아닌거같아서 좀 안도감이 든다 주말에 박휘인 팀원분이 위경련이 일어났다고 하시더라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몸 건강 챙기시면서 하셔야 하시는데 코딩으로 인한 걱정이 많으신거같다 주말에는 좀 복습을 해보았다 내가 배운거 살짝 훓어보기 느낌으로 그거말고도 다음주에 김장도 해야하고 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이 없으니깐 이런점은 또 불편한거같다
스파르타코딩클럽 11/11 오늘 오전 강의 오후강의 zoom 강의만 듣고 온라인강의는 거의 못들었다. 오늘 반복문 함수. 이걸 반복문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제일 큰숫자 구하기, 숫자 다 더하기, 짝수만 출력하기, 자연수 가장큰것 구하기 하는데 진짜 모르겠다. 다시봐도 이해가 잘안간다. 외우라고 하면 외울수있지만 몇개는 이해가 가고 몇개는 이해가안간다 함수는 오히려 적을때 이해가 갔다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max = 0 for num in num_list: if max < num: max = num print(max) 함수는 오히려 적을때 이해가 갔다 def bus_rate(age):..